[MK오피니언/14.06.20] [특별기고] 산학협력, 현장 요구가 대학보다 먼저다

관리자
2014-06-20
[특별기고] 산학협력, 현장 요구가 대학보다 먼저다

최근 논의가 분분한 국가 개조 과제 중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산(産)과 학(學) 융합을 위한 시스템 활성화다.
산학 협력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미래 먹을거리`가 될 새로운 산업의 창출과 발달에 대학과 산업이 함께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세계는 지금 창의와 기술이 국가 명운을 좌우한다는 인식 아래 산학 협력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를 필두로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영국 케임브리지 테크노폴, 스웨덴 시스타, 핀란드 울루, 중국 소프트파크, 한국 테크노파크 등 나라마다 원활한 산학 협력을 통한 기술혁신에 명운을 걸고 있다. 1990년대 초반 경제 불황을 경험했던 핀란드나 스웨덴이 오늘날 세계경제포럼 국가경쟁력 순위 3ㆍ6위에 오를 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 역시 산학 협력의 성공에 기인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정부 출연 연구소 등 특별 연구기관을 설립해 산업기술 개발을 주도해 왔으며, 1990년대부터는 대학이 중심이 돼 다양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산업체 등 수요자 중심의 산학 협력이 추진되면서 개발형, 통합형, 혁신주도형 등 새로운 개념의 산학 협력이 추진돼 왔다. 특히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 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체계적인 개념 정립과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박근혜정부 들어와서는 창의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의 창조형 산학 협력으로 진화하고 있다.

박근혜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형 산학 협력 사업은 산업 현장과 함께 호흡하는 실용 성과 위주의 현장 중심 대학체제 개편, 창의 인력 양성, 융ㆍ복합 기술사업화, 청년기업가 육성, 창조경제를 위한 산학 협력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교육부도 산학협력(LINC)사업을 통해 2014년 기준 56개 4년제 대학과 30개 전문대학에 예산 약 2600억원을 지원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산학 협력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 구축을 유도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산학 협력 정책은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지난 4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공과대학 혁신방안`이 발표됐다.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중심으로 민간인 전문위원이 함께 마련한 공대 혁신방안은 1970~1980년대 산업 성장을 주도하던 공대의 산업 선도자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산학 협력 활성화 방안으로 정부 재정사업과 교수평가 개선, 전공과 실무교육 강화, 실용연구 활성화 등 분야에 있어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대학 평가가 SCI 논문 실적에 치중되고 산학 간 대화와 협력 부족으로 산업계와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한계가 있다는 근본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 전방위적 산학 협력 정책을 제안했다. 이런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업 현장과 밀착된 산학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교육의 핵심에 해당하는 학위 과정과 학점 인정 등에 있어서도 과감한 발상 전환을 통해 전공과 실무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산업 현장과 함께하는 대학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대학과 기업, 교수, 학생에 대한 산학 협력 인센티브 구조를 바꿈으로써 기업과 대학이 상호 적극적으로 산학 협력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선진화된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영역별로 성공한 대학과 기업 사례를 발굴ㆍ홍보함으로써 산학 협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길 바란다.

[이의수 동국대교수ㆍ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http://news.mk.co.kr/column/view.php?sc=30500008&cm=사외칼럼year=2014&no=910387&relatedcode=&wonNo=&sID